티스토리 뷰

목차

  1. 서론
    • 한국의 노인 인구 현황 소개
  2. 본론
    • 65세 이상 인구 통계
      1. 인구 구성 및 증가율
      2. 성별 구성 및 혼자 사는 노인 비율
    • 노인 인구 증가 원인
    • 사회에 미치는 영향
    • 정부 시책
  3. 결론
    • 노인 인구 증가의 중요성과 대응 필요성

 

 

서론

한국은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이제는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는 2019년 이래 계속 감소하고 있고 그 수치가 점점 가팔라지는 이른바 엔진이 꺼져 비행기가 추락하는 상황과 닮아있다고 비유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6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현황과 그 증가 원인, 사회적 영향,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정부 시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본론

65세 이상 인구 통계

인구 구성 및 증가율

2023년 12월 기준, 2023년 국가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65살 이상 고령인구는 973만 411명 (19.0%) 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년도인 2022년에 비해 46만 3121명이 늘어난 수치 입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초고령사회 진입이 단 1년만 남게 된다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게다가 70대 이상 고령인구는 631만 9천 402명으로 20대 인구(619만 7천 486명)를 인구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추월했습니다.

성별 구성 및 혼자 사는 노인 비율

  • 노인 인구의 41% 이상이 혼자 살고 있으며, 이는 가족들의 지원 부족으로 인해 외로움 등 건강 문제에 특히 취약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 고령인구 중 여자가 차지하는 비중 20.6%, 남자는 16.2%로, 여자의 고령인구 비중이 남자보다 4.4%p 높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노인 인구 증가 원인

  1. 출산율 저하: 출산율 저하로 인해 젊은 인구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노인 인구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의료기술 발전: 의료기술과 헬스케어 서비스의 발전으로 기대수명이 증가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65세 이상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

사회에 미치는 영향

노인 인구의 증가는 한국 사회에 여러 가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사회복지 자원의 필요성 증가: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 연금 등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2. 정서적 지원 필요: 가족이 없는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이들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사회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3. 세대갈등 극복 : 65세 이상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생산가능인구에 지워지는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고령계층에 지원되는 묻지마식 포퓰리즘적 정책에 대한 강한 반발이 점점 사회갈등 양상으로 번지고 있기에 이에 대한 국가차원 및 개개인 차원에서의 화해와 협력 상호존중의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65세이상 노인인구수 구성 및 증가율

정부 시책

한국 정부는 노인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 기초연금 지급 : 은퇴 고령 노인인구의 기본적인 삶을 위해 기초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소득과 재산을 고려(하위70% 대상) 상당수의 노인층이 작게라도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 국민연금은 지급되는 시점에 노령연금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지급)
  2. 퇴직자 연금 인상: 노인들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퇴직자 연금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3. 노인 무료 건강검진 제공: 정기적으로 노인들에게 무료 건강검진을 제공하여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4. 노인 전용 주택단지 개발: 노인들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전용 주택단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결론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사회 전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출처 - 통계청 공식자료 

댓글